티스토리 뷰
현재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율이 점차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 속에서 예방만이 정답인 당뇨병의 원인과 진단기준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당뇨병이란(Diabetes mellitus)?
정의 : 당뇨병은 췌장 베타세포에서 생성되는 인슐린의 부족 혹은 인슐린 작용에 장애가 있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해 발병되는 탄수화물의 대사장애이다. 혈액 속의 포도당 농도가 신장의 재흡수 역치를 초과함으로 소변에 당이 함께 나온다 하여 당뇨라고 명한다.
*인슐린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자면.
인슐린은 위와 십이지장 사이에 존재하는 췌장(Pancreas)에서 분비된다. 췌장에는 외분비선(소화액 분비)과 내분비선(혈당 조절 호르몬 분비)이 있으며 내분비선에서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생성하고 분비한다. 췌장의 베타세포에서 인슐린이 만들어져 혈액 속의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이동시키거나, 세포 내에서 포도당의 사용을 증진시킨다. 췌장의 알파세포에선 글루카곤이 분비되어 인슐린의 길항작용을 하여 혈액의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곤 한다.
●당뇨병 분류
-당뇨병전단계(공복혈당장애, 내당능장애), -1형당뇨병, -2형당뇨병, -임신당뇨병, -기타 당뇨병 등으로 분류하나 한 유형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환자 케이스도 많다.
구분 | 내용 |
당뇨병전단계 |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iucose, IFG) 내당능장애(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
당뇨병 | 1형당뇨병(type 1 diabetes) 2형당뇨병(type 2 diabetes) |
임신당뇨병 | - |
기타당뇨병 | - |
1형당뇨병과 2형당뇨병 차이점
특징 | 1형당뇨병 | 2형당뇨병 |
발생연령 | 일반적으로 40세 이전(유년기, 청소년기) | 일반적으로 40세 이후에 발생 |
체중 | 정상체중 또는 마른체격 | 일반적으로 과체중 |
증상 | 갑자기 나타남 | 증상이 없거나 서서히 나타남 |
인슐린분비 | 분비되지 않음 | 소량 또는 정상 분비 |
인슐린 치료 | 반드시 필요 | 경우에 따라 필요 |
케토산증 | 흔하게 발생함 | 드물게 발생함 |
발생 비율 | 전체 당뇨병의 약 5~10% | 전체 당뇨병의 90~95% |
-1형당뇨병 = 췌장 베타세포가 손상되어 인슐린을 합성하여 분비시키는 능력이 망가져 나타나는 당뇨병으로 주로 어린이와 젊은이들에게 나타난다. 1형당뇨병의 초기엔 베타세포가 조금 남아 있어 인슐린 합성 및 분비가 가능하나 점차 베타세포의 파괴가 진행된 후 결국 인슐린의 합성 및 분비가 전혀 안되므로 인슐린으로 치료를 해야한다.
-2형당뇨병 = 과거에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non insulin dependant diabetes mellitus, NIDDM)이라고 불렸으며 대다수의 당뇨병 환자가 속해있다. 2형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는 정상적이나 세포들이 인슐린의 작용에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발병 위험도는 나이, 비만도, 운동부족에 비례하여 증가된다.
특히 비만은 조직의 인슐린 수용체 수와 인슐린 민감도를 감소시켜 세포 내로의 포도당 이동이 저하되고 고인슐린혈증과 고혈당을 유발하여 당뇨병의 발병을 촉진시킨다. 서양에서는 비만형의 2형당뇨병 환자가 많으나 한국인의 경우에는 서양에 비해 비만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의 비율이 높고 발병 당시 급격한 체중 감소를 경험하는 환자도 많다.
●당뇨병 진단기준
-공복혈당 측정 :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하는 혈당
-경구당부하검사 : 75g 경구 포도당부하 2시간 후 측정한 혈당
-당화혈색소 측정 : 헤모글로빈과 같은 혈색 중에 포도에 의해 당화된 %를 수치화한 것
이렇게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진단하고 뚜렷한 증세가 보이지 않을 경우 검사를 반복하여 확인한다.
구분 | 공복 시 혈당 | 당부하 후 2시간 혈당 | 당화 혈색소 | |
정상 혈당 | < 100 mg/dL | < 140 mg/dL | - | |
당뇨병전단계 (당뇨병 고위험군) |
공복혈당장애 | 100~125 mg/dL | - | 5.7~6.4% |
내당능장애 | - | 140~199 mg/dL | ||
당뇨병 | ≥ 126 mg/dL 또는 | ≥ 200 mg/dL 또는 | ≥ 6.5% |
이렇게 당뇨병의 정의 및 종류, 진단기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여러 합병증의 위험을 지닌 당뇨병은 예방만이 정답이기에 정확한 조기진단과 적절한 치료 및 식이요법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 글을 통해서는 당뇨병의 증상과 임신당뇨병, 기타 특이형 당뇨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건강 & 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합병증의 원인 당뇨병 - (3), 임신당뇨병 (0) | 2023.09.19 |
---|---|
만성합병증 원인 당뇨병 - (2), 증상 (1) | 2023.09.18 |
유행 인기 간식 탕후루! 건강하지 않은 간식? 그 이유는? (31) | 2023.09.16 |
소주 한 병 칼로리가 밥 한 공기 이상? 알코올에 대하여 (0) | 2023.09.15 |
제로 칼로리? 인공 감미료에 대하여 (0) | 2023.09.14 |
- Total
- Today
- Yesterday
- 토트넘
- 칼로리
- 득점왕
- epl
- K리그
- 간식
- 설탕
- 겨울
- 탄수화물
- 손흥민
- 건강
- 당뇨병
- 분데스리가
- 축구
- 강원fc
- 빈혈
- 이강인
- 바이에르 뮌헨
- 단백질
- 다이어트
- 당뇨
- 대한민국
- 영국
- 독일
- 김민재
- 프리미어리그
- 4강
- 식이섬유
- 요르단
- 혈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