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우리가 섭취하는 식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탄수화물이란 무엇일까?
주로 밥, 빵 등 자주 섭취하고 있는 주식 중에 많이 함유된 탄수화물.
탄수화물의 화학식은 (CH2O)n (n은 3이상)으로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져 있어 탄소(C)와 물(H2O)이 결합한 상태와 같아 '탄수화물'이라 불린다. 단순하게 당류라고 생각할 수 있다.
당류는 크게 단순당질(단당류, 이당류) 복합당질(다당류)로 분류하기도 하며 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해보자면
1. 단당류(monosaccharide)는 한 번쯤 들어봤을 포도당(glucos), 과당(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이 속해 있다. 당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서 단당류라 불리며 가장 중요한 포도당은 혈액 중 70~100mg/dL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당뇨 진단 기준 중 하나로 추후에 또 다뤄보도록 하겠다. 과당은 단맛이 가장 강한 천연당으로 과일에 풍부하고 설탕과 주요 감미료에 사용된다. 갈락토오스는 젖당(유당)의 성분으로 영아 뇌 발달에 중요한 성분이다.
2.이당류(disaccharide)는 앞서 말한 단당류 2개가 결합된 형태로 맥아당(포도당+포도당), 자당(포도당+과당), 젖당(포도당+갈락토오스)이 속해있다. 자당은 설탕이라고 할 수 있다.
3. 다당류(polysaccharide)는 단당류가 수 많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전분, 글리코겐, 섬유소가 대표적인 예시 이다. 전분은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으로 구성되어 있고 두 물질에 차이는 포도당끼리 α-1,4결합으로만 이루어지면 아밀로오스, α-1,6결합이 구성되어 있으면 아밀로펙틴 이라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글리코겐은 동물체(인체포함)내에 저장되고 있는 다당류이고 아밀로펙틴과 같은 결합 형태를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섬유소는 포도당이 β-1,4 결합으로 이루어진 다당류로 인체는 이 결합을 분해시킬 수 있는 효소가 없어 소화 흡수되지 않고 배설된다.
이러한 탄수화물은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내며 다른 단백질, 지방과 같은 에너지영양소에 비해 가장 효율적인 영양소이다. 인체내에서 탄수화물이 에너지를 생성하는 여러 과정은 따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탄수화물의 역할은 주요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것 이외에 탄수화물은 케토시스(ketosis) 예방하여 케톤병을 예방하는데 이를 위해선 최소 하루의 50~100g의 탄수화물을 섭취해주어야 한다. (평균필요량=100g, 권장섭취량=130g)
더 많은 내용들은 여러 글을 통해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짧은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 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합병증 원인 당뇨병 - (1), 원인과 진단기준 (0) | 2023.09.17 |
---|---|
유행 인기 간식 탕후루! 건강하지 않은 간식? 그 이유는? (31) | 2023.09.16 |
소주 한 병 칼로리가 밥 한 공기 이상? 알코올에 대하여 (0) | 2023.09.15 |
제로 칼로리? 인공 감미료에 대하여 (0) | 2023.09.14 |
몸에 좋은 당? 올리고당이란? (0) | 2023.09.13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국
- 다이어트
- 이강인
- 탄수화물
- 대한민국
- 바이에르 뮌헨
- 강원fc
- 손흥민
- 4강
- 당뇨병
- 당뇨
- epl
- 프리미어리그
- 혈당
- 겨울
- 칼로리
- 득점왕
- 빈혈
- 건강
- 요르단
- 독일
- 토트넘
- 식이섬유
- K리그
- 김민재
- 설탕
- 분데스리가
- 단백질
- 축구
- 간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